Posts
펭덕의 주저리x2
Cancel

정규표현식 삽질 - asterisk(*) vs plus(+)

오랜만의 포스팅. 정신없는 와중에.. 이 글은 나중에 혹시나 어리둥절할 일을 방지하기 위한 메모이다. 잘 써오던 로직 DB에 정규표현식을 저장하여, 데이터를 수집 후 해당 표현식에 맞는 데이터를 분류해주는 로직이 있었다. 예를 들어 penguin* 으로 저장된 표현식의 목적은, 데이터의 key가 penguin_emperor, penguin_gent...

몽고DB (MongoDB) - value type 변경

뭐지 이거? 몽고DB를 사용하여 운영하는 중 쿼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집어넣는 경우가 있었는데, 이후로 type casting 문제로 앱이 잘 안도는 것이었다. 황급히 find 쿼리로 보면 그냥 숫자값인데 왜? 앱에서는 double로 인식하고 있었다. logstash로 수집 데이터를 MongoDB로 넣어준 뒤 그걸 꺼내 확인하는 앱인데 logstas...

카프카 클러스터 (Kafka Cluster) - failover

뭐야 왜 하나 뻗으니 전부 다 작동안해? 카프카를 클러스터로 구성했으니 마땅히 하나가 뻗으면 나머지가 제 역할을 수행해 줄 것이라 굳게 믿고 있었으나 뒤통수를 맞고 말았다.. 하나가 죽었는데 producing, consuming이 모두 뻗어버리고 만 것이다. 우선은 리더라는 개념이 있는 모양이다. 알아서 분산하는 줄 알고있었더니 아니었다.. Le...

보호 (Protection)

공룡책(10판) Chapter 17 요약 보안은 컴퓨터 자원을 보호하는 것에 중점을, 보호는 프로세스와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하는데 중점을 맞춘다. 보호의 목표 _ Goals of Protection 컴퓨터 시스템의 응용이 더욱 복잡, 광범위해짐으로, 시스템의 무결성을 보호할 필요성이 증가하였다. 신뢰가 없는 사용자도 이용할 수 있는 공동의 논리적...

보안 (Security)

공룡책(10판) Chapter 16 요약 인프런 강의에 있어 슬슬 마지막 파트..! 보안과 보호이다. 비슷비슷해 보이지만, 보안은 인증(authentication), 보호는 인가(authorization), 권한과 관계된 부분을 다루게 된다. 보안 문제 _ Security Problem 컴퓨터 자원들이 모든 상황에서 의도된 대로 사용되고 접근된다...

대용량 저장장치 구조 (Mass-Storage Structure)

공룡책(10판) Chapter 11 요약 HDD, NVM과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에 대해 알아보는 단원이다. 개관 _ Overview 하드 디스크 디스크 암(헤드), 플래터(트랙:섹터, 실린더(트랙의 집합)) 분당 회전수(RPM)는 전송 속도와 관련이 있다. 탐색 시간(seek time): 디스크 암이...

가상 메모리 (Virtual Memory)

공룡책(10판) Chapter 10 요약 9장의 페이징에서의 스와핑 부분에서 10장의 언급이 있었다. 물리 메모리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법 알아보도록 하자 배경 _ Background 이전에는 실행되고 있는 코드가 반드시 물리 메모리에 존재해야 하였고, 필요에 따라 동적 적재(dynamic loading) 방법을 사용하였다. 동적 적재...

메인 메모리 (Main Memory)

공룡책(10판) Chapter 9 요약 드디어 프로세스 파트를 빠져나왔다.! 어우 길어 배경 _ Background 메모리는 주소가 있는 바이트의 배열로 구성되어있다. CPU는 프로그램 카운터가 지시하는 대로 메모리로부터 다음 수행할 명령어를 가져와 실행한다. - 기본 하드웨어 _ Basic Hardware 메인 메모리 : CPU가 접근할 수...

교착 상태 (Deadlocks)

공룡책(10판) Chapter 8 요약 까다롭다..! 대기 중인 스레드들이 요청한 자원들이 다른 스레드에 의해 점유되어 있고 그 다른 스레드들도 대기 상태에 있어서 상태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, 그것을 교착 상태, 데드락이라 한다. 시스템 모델 _ System model 여러 유형의 자원들이 스레드들에 의해 공유된다. 프로세스는 다음 순서...

동기화 예제 (Synchronization Examples)

공룡책(10판) Chapter 7 요약 이전에는 Race condition에 대한 이야기와 해결 도구들을 살펴봤다면, 이번에는 동기화 문제를 직접 살펴보고 적용하는 단원이라고 하는 듯. 무슨 차이지..? 고전적인 동기화 문제들 동기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때 전통적으로 세마포를 많이 이용해 왔다. 여기서도 세마포를 사용할 예정. 단 이진 ...